메뉴 건너뛰기

logo

보물상자

2007.10.14 20:31

s모군 조회 수:655 추천:3

부모님들도, 열정의 젊은 시절이 있었습니다.

특별한 취미 생활 한둘은 있으셨겟죠.



그래서 가끔 장농에서 이런 상자가.......나옵니다.



came_1.jpg




...




니콘의 F 마운트는 20년이 넘은 지금도 호환이 됩니다.
78년? 쯤에 구입하신걸로 알고 있으니 30년이 다 되어가는군요.

뭔가 주머니를 탈탈 털어 구입한듯한 느낌이 진한 ....SLR풀셋입니다.

바디도 아직도 전혀 오작동 없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습니다.




came_3.jpg

메인, F2AS

F2시리즈의 마지막이었습니다. 동시에 수공업으로 생산했던 최후의 기종.
덕분에 내구성 하나는 발군입니다.
티타늄 셔터는 고장날 기미가 전혀 없이 아직도 쌩쌩합니다.

셀프타이머 노브가 없어진게 좀 아쉽습니다 ㅠㅠ





came_2.jpg

서브, EM

F3발매후 큰 바디에만 집착하던 니콘이 드디어 발매한 컴팩트형 자동 노출 카메라입니다.
현재로 따지면 "조리개 우선 모드" 에 해당하겠습니다.
조리개만 조절하고 찍으면 자동으로 셔터스피드를 결정해 줍니다.
상당히 가볍습니다.(F2AS에 비하면)


came_6.jpg

F2AS에 50mm, EM에 28mm.
EM은 바디만 구입하신듯....
인터넷을 찾아보니 EM의 번들(?)로 자주 쓰이는 듯한 50mm렌즈는 따로 있는듯한데...



came_4.jpg

Nikkor 50mm, F1.2 MF 렌즈입니다.
하앍하앍

밝습니다.




came_5.jpg

Vivitar 28mm F2.0 렌즈입니다.
DSLR의 1.5배 크롭바디에 적용하면 50mm에 가까운 화각이 연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

하앍하앍




came_7.jpg

....

Vivitar 70-210mm F3.5

데쎄랄에선 쓸 일이 없을것으로 사료됩니다- -;;;;;;

거기다가 옆에 서있는 넘은

Vivitar 3X-3 텔레 컨버터

.....


두개를 조합하면




came_8.jpg

....-_-; 더욱 쓸 일이 없는 조합 되겠습니다...;;;







그리고...요즘의 자동초점 카메라에 익숙한 분들은 수동카메라는 어떻게 초점을 맞추지? 감인가? 하고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있기에....


뷰파인더를 들여다 보면 , 이렇게 보입니다.

came_9.jpg


렌즈와 뷰파인더 사이에, 필름과 동일한 사이즈의 반투명 렌즈가 있는데 이 렌즈를 포커싱 스크린이라고 부릅니다. 요즘 나오는 오토포커스 카메라들은 포커싱 스크린에 별다른 무늬가 없습니다. 그래서 MF모드로 맞춰도 포커스를 맞추기가 참 애매합니다.

이 타입의 포커싱 스크린은 스플릿 스크린이라고 부르는데, 중앙의 반으로 갈라진 원의 상을 똑바로 맞추면 포커싱이 딱 맞습니다. 그래도 어쩔수없이 손으로 돌리는 구조상 약간은 핀이 어긋나기 마련입니다만, 급히 찍어야 될 경우 말고는 대체로 핀이 잘 맞습니다.  망원으로 갈수록 핀 맞추기가 애매해집니다.


포커스 링을 돌려 중앙의 상을 맞추면 중앙뿐만 아니라 주변부까지 포커스가 딱 맞는것을 볼수 있습니다.



came_10.jpg

위 사진은 전원을 켜지 않아서 노출계가 안찍혀있는데,
전원을 켜면 뷰파인더 하단에 붉은색으로 + ㅇ - 표시가 나타납니다.
셔터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조리개가 많이 개방된 경우 + 표시로 과다노출을 표시하며,
셔터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조리개가 너무 조여진경우 - 로 표시됩니다.
두가지 요소를 적당히 조절하여 ㅇ 으로 맞추면 노출이 맞은겁니다.
다만 텔레컨버터를 사용한다거나(렌즈가 어두워짐) 역광인 경우 등 노출계가 혼란을 일으킬 만한 상황에선 감으로(...) 조절해야 합니다.





히...힝기

데쎄랄을 지르라는 신의 계시입니다.

(위 렌즈들 모두 최신 니콘 DSLR에 호환됩니다. 수동으로 초점을 맞춰야 하긴 하지만...)

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추가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210mm+텔레 컨버터 상태의 뷰파인더 사진을

50mm(환산) 화각에 해당하는 사진에 합성해 보았습니다.


-_-;;;



hwagak.jpg



hwagak2.jpg
위로가기